본문 바로가기
알고리즘/[python] 백준 BOJ

[python] 백준 21610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

by Alan_Kim 2023. 7. 9.
728x90
반응형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1610

 

21610번: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

마법사 상어는 파이어볼, 토네이도, 파이어스톰, 물복사버그 마법을 할 수 있다. 오늘 새로 배운 마법은 비바라기이다.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하늘에 비구름을 만들 수 있다. 오늘은 비바라기

www.acmicpc.net

 

문제 해결

  • 순서대로 구현하면 어렵지 않은 문제
  • 구름의 좌표를 모은 다음 주어진 방향, 주어진 크기만큼 이동해서 비를 +1씩 내려준다.
    • 이 때 동시에 일어나도 모두 같은방향, 같은 크기만큼 가기 때문에 구름이 겹칠 일이 없다.
  • 비가 내린 곳에서는 물복사를 할 거기 때문에 좌표를 리스트를 만들어 저장한다.
  • 구름은 이제 모두 없고 물복사 할 곳 좌표에 차례대로 물복사를 한다.
    • 이 때는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하나씩 조사를 하면 전에 물 복사 한 곳이 조사하는 곳의 물 복사 조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전 비의 양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복사를 한 후 새로운 그래프에 메모를 한다.
  • 구름이 생기는 곳에 구름을 만들고 물의 양을 -2한다.

 

CODE
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board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n)]
move = ((0,-1),(-1,-1),(-1,0),(-1,1),(0,1),(1,1),(1,0),(1,-1))
clouds = [(n-2,0),(n-2,1),(n-1,0),(n-1,1)]
dxs = [-1,-1,1,1]
dys = [-1,1,-1,1]
for t in range(m):
    d, s = map(int, input().split())
    copy_clouds = []
    for x,y in clouds:
        nx = (x + move[d-1][0]*s)%n
        ny = (y + move[d-1][1]*s)%n
        board[nx][ny] += 1
        copy_clouds.append((nx,ny))

    clouds = []
    new_board = [[0]*n for _ in range(n)]
    for i in range(n):
        for j in range(n):
            new_board[i][j] = board[i][j]
    for i, j in copy_clouds:
        cnt = 0
        for dx, dy in zip(dxs,dys):
            if 0<=i+dx<n and 0<=j+dy<n and board[i+dx][j+dy]>0:
                cnt += 1
        new_board[i][j] += cnt
    for i in range(n):
        for j in range(n):
            if (i,j) not in copy_clouds and new_board[i][j] >=2:
                clouds.append((i,j))
                new_board[i][j] -= 2
            board[i][j] = new_board[i][j]
answer = 0
for i in range(n):
    answer += sum(board[i])
print(answer)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